C++Builder  |  Delphi  |  FireMonkey  |  C/C++  |  Free Pascal  |  Firebird
볼랜드포럼 BorlandForum
 경고! 게시물 작성자의 사전 허락없는 메일주소 추출행위 절대 금지
분야별 포럼
C++빌더
델파이
파이어몽키
C/C++
프리파스칼
파이어버드
볼랜드포럼 홈
헤드라인 뉴스
IT 뉴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해피 브레이크
공동 프로젝트
구인/구직
회원 장터
건의사항
운영진 게시판
회원 메뉴
북마크
볼랜드포럼 광고 모집

자유게시판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나누는 사랑방입니다.
[5852] [javastudy에서 펀글] SI 업계의 웃기는 행태 & 개발자연대 형성에 대해 토론합시다.
정남영 [] 1404 읽음    2002-09-26 09:36
안녕하세요.. 간만에 올리는 글이 좀 우울스러워서 좀 그렇긴 하지만....
암튼 읽어보면 공감가는 부분이 많을거 같습니다.
저도 요즘 업종 변경할까 대단히 많은 고민을 때리는 중인데.. 이런글이 나오다니...
정말 나쁜넘들 방법하고 싶습니다.

원문은 http://javastudy.co.kr/discuss/forum_content_list.jsp?FORUM_NUM=25 입니다.

-----------------------------------------------------------------------------------------
SI 업계의 웃기는 행태 & 개발자연대 형성에 대해 토론합시다. 이종훈(dicajohn) 2002-09-17

넘쳐나는 인력으로 개발자들이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여기 오시는 대다수 분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반적인 IT업계 구조의 문제점과 이공계 기피현상은 어제 오늘일이 아닌데 앞으로도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정부 부처에 반영될 만한 IT 정책을 공론화하기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이라도 벌여야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또한, 자바스터디 메뉴에도 개발자의 권익을 도모할 수 있는 메뉴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가칭 KDA(Korea Developer Association) 라는 개발자연대를 결성하자는 분들도 계시고요..

나쁜회사 블랙리스트 게시판보다 더 획기적이고 건설적인 아이디어가 있으면 의견 부탁드려요.

IT 는 비전이 안보인다고 다른 분야로 떠나기전에 자신이 고생한 만큼, 조금이라도 고쳐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건 어떨까요.

도피성 의견보다는 다같이 힘을 모아 근본적인 문제점을 찾아서 개선시키는 방향으로 의견을 제시해보죠.


아래는 구직란의 글을 리포스팅 하였습니다.
---------------------------------------------------------------------------------------

현재 SI 업계의 구도는 이렇습니다.
일단 프로젝트 입찰이 뜨면 거기에 응시할수 있는 업체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단가를 과기처기준이나 정보통신부 기준의 단가로 때려 잡습니다..

대기업으로 프로젝트 수주되면 자기네 인력 파견 안합니다...
다시 밑으로 하청줍니다..
그러므로 만약, 경력 5년이상의 팀장 한명에 3-4년차 3명, 2년 이상 3명을 집어 넣기로 하고 프로젝트를 수주 하였다면..
실질적으로 들어가는 인원은 경력 5년도 안되는 팀장..2-3년차 2명정도..1년이 채 되지 않는 인력 3-4명.
.이들의 월급을 합치면 처음 프로젝트 단가로 때려 넣었던 인건비의 절반은 커녕 3분의 1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나머지수익은 프로젝트 수주를 한 갑에게(대기업) 그나머지는 다시 그 밑의 을에게(하청 받은 업체 1) 다시 그 나머지는 다시 그 밑의 하청 업체 2에게 갑니다..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면 질은 떨어질수 밖에 없으며...
경력 기준을 맞추기 위해 하청업체들은 경력자만 찾습니다..
그러나, 결국은 조건에 맞는 사람이 거의 없으므로 대충 1년정도이하로 봐서 할수 있는 열의가 있어 보이는 사람을 집어 넣습니다..

그 사람은 자신을 써준 것만으로도 감사하며, 야근에 밤세우기를 밥먹듯이 하고..
5일근무제와는 시대가 먼 사람으로 취급 받게 되며.. 심지어 공휴일, 일요일도 불사하면서 프로젝트를 위해 헌신합니다..

이때 업체들이 내세우는 한마디가 있습니다..
지금은 고생해도 이 프로젝트만 끝나면 자신의 경력 프로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아주 크고 대단한 프로젝트기 때문에 누구나 인정하게 된다..

이거 다 개소리 입니다..지네들이 따 놓은 프로젝트만 아주 훌륭한 프로젝트 입니까?..
막상 들어가서 개발해 보면 과연 이게 몇십억.. 몇백억의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 인지 의심스럽습니다..

특히, 공사의 경우는 더욱 심합니다..
국민이 내는 세금이 그렇게 소리소문도 없이 사라집니다..
1차 개발 완료후.. 프로젝트 평가를 받으면서 대충 끝냅니다..
왜?.. 지네들도 책임을 물기 싫으니까..

그래놓고 2차 개발을 생각합니다..
1-2년후 2차개발...이때 투입되는 프로그래머들은 혼쭐이 납니다..
엉터리 설계, 말도 안되는 로직...추가 개발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힘이듭니다..

무식한 현업인간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1차 개발의 형식으로 해주세요..
왜?.. 지네들이 여태 봐 왔기 때문에 유지가 쉽다는 이유로 말입니다..
이때 '나는 프로그래밍을 할때 만큼은 살아 있다는 느낌을 가진다'고 자부하던 프로그래머들은 고뇌합니다..

자신의 체질상 이런 엉터리 방법으로 개발할수 없다는 의무감에서 입니다..
그러나, 곧 마음을 바꿔 먹습니다..
현업의 엉터리 지식.. 프로젝트 발주처라는 자부심에 들뜬 건방짐.. 말도안되는 기능구현에 빼앗기는 시간과 야근..야근..야근..." 그래.. 그냥 끝내자.. 대충하고 시간 떼우자.." 이렇게 됩니다..

이것이 우리나라 SI업계의 현실입니다..
무슨넘들의 회사가 겨우 5명이서 시작합니까?..
SI 하청 한개만 받아서 일단 월급해결합니다..

계속 이런식으로 회사를 운영합니다..
기술개발?.. 웃기는 소립니다..
IT가 좋다니까 너두 나두 회사부터 차려놓고 봅니다..
경력자만 모집합니다..
기반도 없는 회사니까 신입은 어림도 없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7급 공무원의 1호봉 월급이 얼만줄 아십니까?..
기본급만 백만원입니다. 여기에 수당 붙으면 2백만원조금 넘습니다..
이들의 근무시간은 현재 주 5일 근무제로 인하여 월요일 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9시 부터 저녁 6시까지 8시간 근무라고 볼때 40 시간입니다.
물론, 약간의 야근이 있겠지요..
그래도 야근을 하면 수당 더 붙습니다..

한달에 160 시간하고 월 2백이 넘습니다.
자..이제 이 바닥을 봅시다..
토요 격주라고 해봅시다.. 실제로는 토요일에 안쉬는 곳이 더 많습니다..
하루에 오전 9시부터 야근해서(야근 없는날 없습니다) 저녁 10시 까지라고 볼때,
물론, 밤을 세지 않는 조건으로 말입니다.. 일주일이면 약 72 시간입니다.. 한달이면 약 280 시간입니다..
이것은 최소 시간입니다.. 밤세고 어쩌고 하면 더 늘어납니다.

급여는 경력 1년이상 2년 이하라면 연봉으로 2천- 2천2백입니다..
한달에 150 만원입니다..
이것도 많이 받는 겁니다.. 자..어떻습니까?..
과연 이바닥에서 일하고 싶습니까?.
저두 이제 경력 3년이 넘었습니다..
얼마있으면 이바닥에서 영원히 떠나려고 합니다..
떠나기 전에 이바닥을 고급스럽게 보고 뛰어들려고 하는 많은 젊은이들에게 호소하고 싶습니다..
당신의 몸이 망가지고..
당신의 정신이 흐려지고..
당신의 마음에 큰 상처를 입습니다..

--------------------------------------------------------------------------------------
정말 많은 분들이 공감해 주시는군요..

그저 답답한 마음에 몇자 적었을 뿐입니다..
제가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그리고, 당장은 고쳐지지 않겠지만 우리들이 ..
우리 개발자들이 이런 취급을 받으면서 얼마나 많은 인내심을 기르고 있는지 그들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첫번째.. 구인글을 올리시는 업체 대표자 분들께..
능력 없으면 회사 닫으십시오..
이것은 협박이나 어떤 비아냥 거림도 아닙니다..
여러분들이 그렇게 능력이 안되면서 계속해서 회사를 운영한다는것은 그만큼 많은 개발자들이 더 희생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번째...새로 창업을 하시려는 조금 돈이 있는 창업주분들께..
다시 재고 해 주십시오..
과연 내가 회사를 차리면 많은 사람에게 이익을 줄수 있는가를 생각해 주십시오..
만약, 당신이..
눈앞에 수많은 개발 인력들을 보고 입으로 군침을 흘리면서 그들의 피와 살을 쥐어 짜고자 회사를 차린다면 당신은 인간도 아닙니다..

회사를 차리려면 확실한 아이템과 적절한 대우, 그리고, 자신있는 비전을 제시해 주십시오..
그러나, 전문 지식인으로서 인간이하의 취급을 받으며..
그런 현실을 잘 알면서도 어쩔수 없는 고급 두뇌직업보다는...
차라리 힘들게 막노동을 할지언정..
진정 인간적인 대접과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없는 직업이 더욱 낫습니다..

얼마전에 저는 펑펑 울었습니다..저 3년 넘었습니다..
그런데, 아웃소싱 나가보니 저를 마치 1회용품 취급하더군요..
처음부터의 개발도 아닌..
한참 개발중인 프로젝트에 이제 3-4개월 남아있는 기간내에 가서 하는 일이 ...
지네들이 원하는 사람은 2년 이상이었으면서 막상 하는 일은 1년차들이 하는 노가다성 짙은 코딩 작업이었습니다..

그렇게 저는 아직도 인간 부속품 취급을 받는 것이었습니다..
필요할때 잠깐 쓰고 버리는 부속품입니다..
인터뷰후에 돌아오면서 눈에 눈물이 고였습니다..
길거리 라서 안울려고 했는데.. 자꾸만 눈물이 나왔습니다..

그나마 저는 2중으로 아웃소싱되서 들어가는거였습니다..
제가 속해 있는 회사 소속으로 들어가는것도 아니고 다시 다른 회사 소속으로 들어가면서 그쪽 팀장이라는 사람도 마치 지네들 회사에서 온것처럼 위장해 달라고 하더군요..
과연 나는 프로그래머 인가?.... 개발자 인가?..
진정으로 따지자면 우리들은 프로그래머라는 말을 써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대부분이 개발자라고 합니다.. 사실 이말도 기분이 안좋습니다..
우리가 왜 개발자 이겠습니까?(영어로 Developer)
그것은 이미 넘쳐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그들중 아무나 한명 데려다가 코딩시키면 개발은 됩니다..
이래서 개발자 입니다.. 언어에 대한 문법알고 코딩만 하면 개발자 입니다..
진정한 나만의 로직 설계와 독창적인 구현을 하는 프로그래머도 다 개발자 취급받습니다..
눈물이 납니다.. ㅜㅜ

SI 쪽이 그렇다는 겁니다.. 솔루션 개발이나 팩키지 개발쪽은 그나마 사정이 낫습니다..
그들은 최소한 파견으로 인한 널뛰기 근무는 하지 않을테니까요..
밑에 어느분이 노조를 만들자고 하시던데..
정말 필요한거 같습니다.. 우리도 노조가 정말 필요한거 같습니다..
전국 프로그래머 노조 연합회.. 라는 이름이 어울릴까요?..
흑흑흑.. 너무 슬픕니다...ㅜㅜ
이래봤자.. 업계는 눈하나 꿈쩍도 하지 않고.. "
소수 불만있는 녀석의 넋두리 겠지" 라는 생각을 가지겠죠..
이래봤자.. 아무 소용도 없겠죠?..
아.. 이것이 IT 강국의 진정한 모습이었던가?..
나는 왜 이길을 선택했던가?...


jbuilder [jbuilder]   2002-09-26 12:38 X
음...토론 주제는 좋은데요....이것이 IT 기업에게만 국한된 문제일까요? 이 문제들은 우리나라 기업들의 전반적인 행태라고 볼수 있지않을까요? 프로그래머도 엔지니어라면 엔지니어인
jbuilder [jbuilder]   2002-09-26 12:39 X
데......기업의 먹이 사슬에서 저평가된것은 분명한 일입니다...기업주는 오로지 주가에만 신경을 쓰니까요....뭐...토론 주제와는 별로 상관이없이 잡담하고 갑니다...^^
미르노바 [kermi]   2002-09-26 14:55 X
제목이 '토론주제'로 되어있었군요. 아무생각 없이 긁어온 제목입니당.. ^^;;
빈센트 [kaisar]   2002-09-26 15:00 X
절절한 사연 잘읽었지만.. 너무 어둡네요.. -,.-;
김상훈 [wizest]   2002-09-26 17:55 X
딱이야 정말 그래.. ㅡ.ㅜ

+ -

관련 글 리스트
5852 [javastudy에서 펀글] SI 업계의 웃기는 행태 & 개발자연대 형성에 대해 토론합시다. 정남영 1404 2002/09/26
Google
Copyright © 1999-2015, borlandforum.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