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acTeria 박종민 입니다.
음...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 윈드라이버와 드라이버 스튜디오를 약간 써 봤습죠~ ㅋㅋ)
우선 WinDriver는 윈도우에 Windriver의 표준 드라이버를 등록하면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니 사용자는 DDK나 기타 H/W적인 세부적인 사항을 몰라도 윈드라이버가 등록시킨 드라이버에 윈드라이버의 DLL함수를 호출하여 간단히 H/W I/O를 할수 있는거죠.
그리고 같은 회사 제품중에 커널드라이브라는 툴이 있는데요.
이건 누메가사의 드라이버스튜디오와 거의 흡사합니다.
단지 DDK를 좀 더 편하게 쓸수 있는 DDK 보조 툴이죠. 그래서 이 툴들은 DDK를 모르면 허당입니다.
제 생각엔 빠른 생산성(?)을 원하신다면 윈드라이버를 쓰실것을 추천합니다.
Jungo(www.jungo.com) 홈페이지에 가면 30일 평가판도 받을수 있습니다.
PS. 윈드라이버에 드라이버 위저드라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킨후 원하는 H/W를 선택하면 델파이 소스나 빌더로 된 H/W I/O소스를 간단히 만들어 줍니다.
자세한 스펙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심이... 쩝!!
|